인간의 뇌는 여러가지 기억 중에서

고통을 가장 먼저 잊도록

구조화되어 있다고 합니다

계속해서 살아가라는 뜻이라 들었습니다

서둘러 고통을 잊고 멈추지 않고 살아가고

또 사랑하도록 말입니다. 

그러니 어떻게 사랑을 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9쪽)

 

새로운 것도 언젠가는 낡은 것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낡은 것이 갖는 아름다움도 알게 되었어요

마냥 새로운 것만 따라가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냐고 묻는다면 저는 '아니요'라고 대답을 할 겁니다. 

시간을 두고 지켜온 것만이 가질 수 있는 아름다움이 따로 있습니다. 새로운 것은 절대로 가질 수 없는 미덕이죠(88-89쪽)

 

두 사람이 가는 길에 폭풍우가 친다면

여자는 함께 노를 저어 이겨내고 싶었으나

남자는 '폭풍우는 나 혼자 감내할테니 

너는 평화로운 섬에 머물면서

편안히 기다려달라'라는 타입이었다.

그 기다림이 전혀 평화롭지 않다는 것을

남자는 모르는 것 같았다

여자는 차라리 같이 힘들고 싶었다(114쪽)

 

연리목과 연리지라는 거이 있어요. 연리목은 두개의 나무가, 연리지는 두개의 가지가 하나로 붙어 자라는 것입니다. 각자 떨어져 있던 둘이 만나 하나가 되었으니 사랑의 상징으로 흔히 쓰이지만 둘이 하나가 되는 일, 그 처음은 사실 상처입니다(138쪽)

 

'반쪽만 갖는 것은 전부를 잃는 것보다 더 나쁘다'

 

그것이 사랑이었다

바보처럼 이제 알았다(253쪽)

 

{셰임}의 여주인공 말이 맞아죠. 사랑이 쉽지 않은 것은 우리가 나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상처받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안아 줄 필요가 있어요. 가장 먼저는 스스로를 안아 주어야 합니다. 상처 받은 자기 자신을 못났다고 밀어내지 말고 ' 나 참 못났구나, 안쓰럽다' 인정하고 안아줄 필요가 있어요. 그러헥 인정하는 순간 눈물이 무척 나겠지만 나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면 다른 사람의 부족함도 안아줄 수 있게 됩니다(316쪽)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어른이 되어서도 가끔 울었다 | 투에고  (2) 2025.07.02
시와 물질 | 나희덕  (1) 2025.05.21
편지할게요 | 정영욱  (0) 2025.05.20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0) 2025.05.19
스페인은 건축이다 | 김희곤  (2) 2025.05.15

 

아무리 노력해도

나를 집어삼킨 슬픔이 달아나지 않는다면,

그것을 잊을 만큼  뫂두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35쪽)

 

빚지지 않는 삶이란 업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모든 것들이 앞서간 사람들이 조금 더 나은 세상을 바라며 헌신으로 일궈낸 결과이기에. 무심하게 보낸 오늘도 어떻게 보면 누군가의 피와 땀으로 이루어진 셈이다(36쪽)

 

힘든 순간에 웃는다는 것은

어쩌면 그 뒤에 올 어두운 감정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함일지도 모른다

그런 과정을 그만둘 순 없다 (70쪽)

 

늙어가는 일은 그만치 힘을 잃어가는 것과 같아서다. 과거의 영광에 사로잡혀 그것들을 되찾으려 하다가는 더 많은 것들을 잃을 수 있기에, 그저 무기력하게 지켜보는 일 외에는 방법이 없을 수도 있다(116쪽)

 

이유는 다른데 있었다. 나를 담은 화분이 이제 나를 담기에 너무 작아진 것이다.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 때때로 자신의 주변과 시야를 더 넓혀야 할 때가 있다. 물론 시기가 적절하지 않거나, 또 다른 이유로 잘 풀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선택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몫이다(137쪽)

 

서로가 익숙해진다는 것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감정도 무뎌지는 일이다(147쪽)

 

지나친 관심은 맹독을 묻힌 화살로

활시위를 당기는 것과 같다

그건 상대를 죽일 수도 있는 위력이다(169쪽)

 

시간이라는 도로를 달리는

나의 자동차에는 브레이크가 없다

하물며 엑셀을 밟지 않았는데도 속도는 점점 빨라진다.

그럴수록 방향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아

너무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205쪽)

 

산다는 것은 고통의 연속이고, 살아남는 것은 그 고통 속에서 어떤 의미를 찾는 일이라고 니체는 말했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평등'이라는 말은 우리를 핍박하지만, 주어진 조건이나 상황은 천차만별이다. 열악한 환경일수록 무너지기는 더 쉬우며, 결코 세상은 평등하지 않다.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너무 신경 쓰지 않는 편이 좋다. 돌이켜보면 무언가를 탓하고, 노여움으로 가득했던 시간은 나를 더욱 더 갉아먹었을 뿐이다.(231쪽)

 

내가 생각하는 '나'라는 사람은

내면에 있는 자신을 만날 수 있는 존재이다(236쪽)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도 사랑 | 정현주  (1) 2025.07.02
시와 물질 | 나희덕  (1) 2025.05.21
편지할게요 | 정영욱  (0) 2025.05.20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0) 2025.05.19
스페인은 건축이다 | 김희곤  (2) 2025.05.15

인천 소래포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마샘에서

동호인과 같이 했던 첫 전시회

 

+ Recent posts